코인세상에서 꼭 알아야 할 단어들
본문 바로가기
메타버스세상과 NFT

코인세상에서 꼭 알아야 할 단어들

by 아톰72 2022. 5. 21.
반응형

오늘은 뉴스 등에서 많이 보는 단어들을 간단하게 풀이해 보겠습니다.

이 정도의 단어는 알아야 뉴스 등을 볼 때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Defi : Decentralized  Finance : 탈 중앙화 금융은 중개, 거래소 또는 은행과 같은 중앙 금융 중계자에 의       존 하지 않고 대신 블록체인에서 스마트 계약을 활용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형태이다.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통해 암호화페로 송금, 결제, 대출, 보험 등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DEX : Decentralized Exchange : 탈 중앙화 거래소 : 중간 역할 (중개)가 없이 유동성 풀 안에서

    개인 간의 코인을 교환하는 시스템. 중앙화 된 거래소(CEX :업비트, 빗썸)는 거래소가 엄청난 이득을

    가져가지만 DEX에서는 시장에 참여자들이 이익을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그냥 가져가는 게

    아니라 LP(Liquidity Pool)을 조송해 서 코인을 예치시켜야 이익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것을

    유동성 공급이라 칭합니다.

 

  -NFT :Non-Fungible Token :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입니다. 위. 변조가 불가능한 토큰입니다.

   (디지털 자산)에 적용해 '세계 유일의 진품'임을 인증하고 소유권을 부여하는 디지털 증표입니다.

    디지털 파일은 사진이 될 수도 있고, 그림이나 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에서 시작된 NFT는 

    암호화폐로만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SEC : 미국의 증권거래위원회. 독립적인 준사법기관으로 유가증권과 관련된 연방법을 진행한다.

    상장된 주식의 상장폐지도 가능하다.

 

  -ICO : Initial Coin Offering : 가상화폐 공개 : 기업이 기술과 정보 등을 투자자에게 공개하고

    가상화폐를 받아 투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별도의 규제가 없어 자금을 쉽게 수혈할 수 있지만,

    일부 기업이 별다른 기술이나 성장성 없이 무분별하게  ICO를 진행하고 해킹을 통한

    코인 가로채기 사건이 속출해 중국과 미국, 한국 등

    각국이 ICO규제에 나섰다. 이에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가상화폐 가치가 크게 하락했다.

 

  -IPO :Initial Public Offering : 기업의 경영정보를 외부에 공개해 주식을 다수 투자자에게 공개적으로

    파는 일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증권거래소에 상장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이용한다.

 

  -커스 터디 : 해외 투자자들이 한국 채권이나 주식을 거래할 때 금융자산을 대신 보관, 관리해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외국 투자가들이 국내 주식을 매입할 경우 자금 및 주식 관리는 물론 환전이나

    주식의 매입, 매도를 대행해 준다.

 

  -STO : 증권형 토큰 : 미래 수익이나 실물 자산 등에 대한 지분, 권리를 부여하는 징표다. 기초자산과

    연계된다는 점에서 지급 결제형 토큰이나 유틸리티 토큰과 구분된다. 증권형 토큰은 전통적인

    증권발행에 비해 중계 비용이 적고 시간이 절약된다. 자산을 토큰 화해 지분을 쪼개 팔 수 있어

    소액 투자자들의 접근성을 높인다.

 

  -스테이블 코인 (stable coin)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입니다. 이것은 달러나

    유로 등 법정화폐와 1:1 가치로 "페깅 (pegging :어떤 코인이 달러 같은 자산을 따라가 가격이

    고정되는걸)"되어 있습니다.

 

    -테더 (Tether, USDT) 코인이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이고 이 외에도 HUSD,PAX,GUSD,USDC등의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됐다. 다른 가상화폐와 달리 변동성이 낮아 가상화폐 거래나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금융서비스인 '디파이(Defi)' 같은 가상화폐 기반 금융상품에 이용된다. 중앙(거래소)에서

    직접 발행해 유통, 수요와 공급 조절하고 있음. 달러를 별도로 비축, 외부감사를 추가로 밟음.

 

    -바이낸스 (BUSD) :법정화폐 담보 스테블 코인이며, 바이낸스 거래소가 출시하는 미국 달러와 연동되는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BUSD는 거래소 코인이긴 한데, 법정화폐 담보의 성격도 일부 띠고 있습니다.

    현재 바이낸스에서 nft를 구입할 수 있는 등 활발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DAI :Daicoin : 다이또는 다이코인 : 암호화폐 담보 방식의 스테이블 코인이다. 이더리움을 담보로

    예치한 후 다이 코인을 신규로 발행할 수 있다. 대출한 다이를 다시 입금할 경우 담보로 맡겨두었던

    이더리움을 되찾아갈 수 있다. 이때 대출 수수료를 지급하기 위해 메이커 토큰 (Maker Token)을

    사용한다.

 

  

    

'메타버스세상과 N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의 종류 2  (0) 2022.05.30
코인의 종류 1  (0) 2022.05.24
코인세상에서의 용어정리  (0) 2022.05.18
블럭체인과 암호화폐  (0) 2022.05.16
메타버스세상. .  (0) 2022.05.07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