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새해가 밝았어요! 2023년은 '검은 토끼의 해'라고 하죠.
그런데 어째서 '검은 토끼의 해'인지 알고 계시나요??
오늘은 해마다 OO 년으로 불리는 원리를 알려드릴게요.!
◈ 육십갑자(六十甲子)부터 알아야 해요
갑자기 웬 한자 수업이야 하실 수 있지만.. 육십갑자는 우리 일상에 굉장히 가깝게 자리하고 있어요.
평소 나이가 같은 사람을 일컫는 '동갑(同甲)'이라는 말, 많이 쓰시지요? 이 단어의 뜻이 바로 '육십갑자가 동일하다'라는 의미예요.
또한, 만 60세가 되면 '환갑잔치'를 하죠.
태어난 간지의 해가 다시 돌아왔음을 뜻하는 '환갑(還甲)'을 축하하는 게 바로 환갑잔치예요.
◈ 60년 주기에도 원리가 있어요
어릴 때 많이들 외워보셨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육십갑자는 이 10개의 천간(天干)과 12개의 지지(地支)를 순서에 따라 조합한 60개의 간지(干支)를 뜻해요.
한 바퀴를 다 돌면 60년! 즉, 60진법의 체계를 이루고 있어요.
2023년 계묘년에 태어난 사람은, 60년 후인 2083년 계묘년에 환갑을 맞이하게 되는 거죠.
◈ 띠를 나타내는 '십이지'
간지 중 뒷글자를 담당하고 있는 십이지는 12종류의 동물로 나타나요. 쥐띠, 소띠와 같이 표현하는 우리의 띠도 여기에서 오는 겁니다.
◈ 왜 '흰'토끼도 아닌 '검은'토끼일까?
십이지 중 '묘'의 해라서 토끼인 것은 아시겠죠? 그런데, 왜 '검은 '토끼이고, 이 색깔은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요?
바로, 간지의 앞 글자인 '천간'에서 정해진다고 하네요. 천간은 오행에 따라 오방색의 속성을 가지고 있어요.
※ 오행 : 우주 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금, 수, 목, 화, 토
그러므로, 2023년 계묘년은 ●흑색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천간 '계'와 토끼를 나타내는 지지 '묘'가 만나 '검은 토끼의 해'가 되는 거예요.
그렇다면 내년인 2024년은 십이지 중 '진(용)", 그리고 천간에는 청색의 속성을 가진 '갑'이 만나게 될 테니 '갑진년'이 되고, 청룡의 해가 되겠네요.
※ '검은 토끼'에 담긴 의미
토끼는 예로부터 지혜와 꾀가 뛰어난, 영리한 동물로 알려져 있어요. 별주부전에서도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자기 간을 뭍에 두고 왔다'라고 기지를 발휘하죠'. 게다가 토끼는 새끼를 낳을 때 여러 마리를 한꺼번에 낳는 특징이 있어서 다산과 풍요, 번창 등을 상징한다고 해요. 그리고 ●'검은색' 역시 '인간의 지혜'를 상징한다는데요. 즉 '검은 토끼'는 깊은 지혜와 영리함, 장수, 풍요 등 여러 긍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어요.
이런 의미에서 2023년은 어떤 어려움이 와도 지혜롭게 이겨내고 한 단계 더 성장하는 한 해가 되길 기대해 봅니다. 건강도 잘 챙기시는 한 해가 되길 바랄게요.
'소소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글로리' 비하인드 코멘터리 (0) | 2023.01.14 |
---|---|
여성 치질과 여의사 있는 병원 (0) | 2023.01.09 |
압도적 매력이 터진 '법쩐' (0) | 2023.01.07 |
카카오톡 먹통 보상 (카카오톡 무료 이모티콘 3종 세트) (0) | 2023.01.07 |
다시 보게되는 '더 글로리" 차주영 (0) | 2023.01.05 |
댓글